조달청, ‘입찰담합 손해배상예정액 제도’ 도입
상태바
조달청, ‘입찰담합 손해배상예정액 제도’ 도입
  • 오세원
  • 승인 2016.04.08 13: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입찰금액의 5% 또는 계약금액의 10% 범위내 손해배상액 납부

[오마이건설뉴스-오세원기자]앞으로 공공조달시장에서 입찰담합이 적발되면 입찰금액의 5% 또는 계약금액의 10% 범위내에서 손해배상 청구가 이루어 진다.

조달청은 공공입찰 과정에서 담합행위 발생 시 즉각적인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하도록 청렴계약서에 손해배상액 납부 관련 내용을 신설하는 손해배상예정액 제도를 도입, 오는 11일 입찰공고분부터 시행한다고 7일 밝혔다.

이에 따라 국가계약법 적용 기관의 경우 입찰서 제출 및 계약체결 시에 개정된 청렴계약서를 첨부해 계약을 진행하고 공정거래위원회의 담합 처분 통보 시 입찰자 또는 계약상대자에게 청렴계약서에 의한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하게 됐다.

조달청의 손해배상예정액 제도 도입은 관행적인 입찰담합을 뿌리뽑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정양호 조달청장은 “이 제도가 정착되면 다수의 공공기관이 손해배상예정액 제도를 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담합에 대해 손해배상소송을 추진하고 있지만 피해액 산정이 쉽지 않았는데 발주기관의 소송 부담도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