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건설뉴스]국토교통부는 1기 신도시 정비사업을 위해 선도지구의 신속한 정비지원과 함께 1기 신도시 내 영구임대주택 재건축을 본격 착수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를 통해, 30년 가량 경과된 영구임대주택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기존 영구임대 입주민의 재정착을 위한 임대주택 1만4,000호와 신규 공공주택 7,200호를 오는 2037년까지 순차 공국토부는 이를 위해 내년 상반기까지 연차별 순차 착공계획을 수립하고, 계획에 따라 임시거처 선호지 설문조사→임시거처 확정→이사·착공 등을 순차 진행할 계획이다.
5개 신도시 인근에는 기 공급된 영구임대주택 9곳(4,300호) 등 총 1만3,000호의 활용가능한 공공임대주택이 위치하고 있으며, 입주시기 등을 고려해 연차별 순차 이동계획안을 수립할 예정이다.

선호 임시거처 전수조사를 통해 임시거처용 공공임대주택으로 결정되는 인근 영구임대주택 등은 예비입주자 선정 시기를 조정해 이동가능 공간을 확보할 계획이다.
아울러 영구임대주택과 민간아파트가 혼합된 단지의 재건축을 활성화하기 위해, 민간아파트 주민이 희망할 경우에는 영구임대주택 소유자인 LH를 사업시행자로 하는 통합재건축도 허용한다.
통합재건축을 희망하는 단지는 영구임대 단지의 기존거주민 이동완료 목표 시점 3년 전부터 주민 1/2이상 동의를 받아 관할 시에 입안 제안을 허용할 계획이다.
연차별 혼합 영구임대주택 재건축 물량은 내년 중 마련될 지자체별 순차정비방안과 연계해 지자체가 관리하는 연차별 정비구역 지정물량 범위 내에서 추진한다.
국토부는 1기 신도시 영구임대주택 재건축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신도시별로 국토부-지지체-LH 간 전담조직(TF)을 구성하고 이사·복지서비스 등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추가 공급되는 물량은 1기 신도시 정비사업의 중장기적인 주택수급 여건 변화 대응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